2025. 5. 15

'사상 최대' 실적 자랑했던 톱5 손보사, 올해 1분기엔 주춤

지난해 사상 최대 실적을 모두 달성했던 국내 5대 손해보험사들이 올해 1분기엔 고배를 마셨다. 자동차보험 손해율 악화라는 구조적 요인과 대형 산불 등 갑작스러운 악재가 겹친 영향이다.

더 보기
2025. 5. 15

MG손보 보험계약 151만건…변경없이 5대 손보사로

MG손해보험 121만명 가입자의 모든 보험계약이 조건 변경 없이 5대 주요 손해보험사로 이전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정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MG손보의 일부 영업정지 및 향후 처리방안을 의결했다.

더 보기
2025. 5. 14

감사원 "실손·자동차보험, 건보 재정에 부담"

해마다 37만 명이 자동차 보험의 '향후 치료비'를 수령하고도, 건강보험으로 치료를 받았다.

더 보기
2025. 5. 16

'바가지 오명' 제주 렌터카 성수기·비수기 요금 차 줄인다

제주도가 관광객들의 바가지 민원이 제기돼 온 렌터카 요금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16일 도에 따르면 제주도는 렌터카 요금 산출 방식이 담긴 '자동차 대여 요금 원가 산출에 관한 규칙'을 개정하기 위해 업체들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더 보기
2025. 5. 16

어피너티, SK렌터카·롯데렌탈 동시 인수했지만…에쿼티 셀다운 ‘부담 커졌다’

어피너티에쿼티파트너스(이하 어피너티)가 SK렌터카와 롯데렌탈을 동시에 인수하며 조 단위 에쿼티 자금을 투입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인수 자금의 상당 부분은 인수금융으로 조달하지만, 여전히 8000억~9000억원에 달하는 자기자본(에쿼티) 부담을 감당해야 해 공동투자자(Co-investor) 유치에 나섰다.

더 보기
2025. 5. 13

"중고차 시장 판 커진다" 플랫폼 vs 렌터카 vs 제조사 '각축'

중고차 시장에 새로운 바람이 불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차의 중고차 점유율 제한이 이달 해제된 영향이 크다. 렌터카 업체도 중고차 시장에 눈을 돌리고 있다. 플랫폼 업체는 브랜드 재편, 브랜드 신규 론칭 등을 앞세워 점유율 사수에 나섰다.

더 보기
2025. 5. 16

'관세폭탄' 이어 美IRA 폐지 추진에 韓자동차·배터리 '화들짝'

미국 트럼프 정부의 관세폭탄에 이어 미 의회가 IRA(인플레이션감축법) 보조금 폐지를 추진하면서 국내 업계가 긴장하고 있다. IRA 보조금이 폐지되면 그 혜택을 받던 국내 자동차와 배터리 업체의 피해가 불가피 하기 때문이다.

더 보기
2025. 5. 16

휘발윳값 보합세…“유류세 인하율 축소 영향 제한적”

정부가 유류세 인하 폭을 축소했지만 충북의 휘발윳값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 보기
2025. 5. 16

파월 “공급 충격 시대 진입…장기 금리 높게 유지될수도”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15일(현지시간) “공급 충격이 더 자주, 더 지속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기로 접어들고 있을 수 있다”며 “앞으로 장기 금리가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더 보기